본문 바로가기

의학용어 사전/A

의학용어 agranulocytosis 뜻 무과립구증

by 참 쉬운 2021. 8. 1.

의학용어 agranulocytosis 뜻?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제6판. 우리말(한자) : 무과립구증(無顆粒救症)

무과립구증이란?

혈액의 백혈구 중 과립구(호산구, 중성구, 호염구, 비만세포)가 심각하게 감소하는 질환. 특히 중성구의 감소는 신체의 일차적 방어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위험한 상태이다. 혈액내 과립구의 숫자가 200 개/mm³ 이하로 감소한다. 약물 부작용, 방사선 치료 부작용, 화학요법 부작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환자들은 심각한 면역결핍으로 인해 감염될 위험이 대단히 크다. 그러나 과립구의 수가 0이 아닐 수 있으므로 과립구감소증(granulopenia, granulocytopenia)이 동의어로 쓰인다. 또한 특히 감소한 과립구의 종류에 따라 중성구감소증(neutropenia), 호산구감소증(eosinopenia), 호염구감소증(basopenia)으로 나뉜다. 중성구감소증이 가장 흔하고, 호염구감소증은 거의 없다.

agranulocytosis 어원

고대 그리스어 ἀ- (a-, 아니다, 없다) + [라틴어 granum(낱알) + 고대 그리스어 κύτος (kútos, 그릇)] + 고대 그리스어 -ωσις (-ōsis, 상태)

agranulocytosis 발음

영어 발음기호 : əɡræ̀njulousaitóusis

한글발음 : 어그래뉼로우사이토우시스

콩글리쉬 : 어그래뉼로사이토시스

무과립구증 증상

증상이 전혀 없다가 갑작스러운 오한, 발열, 인후염에서 시작해서 폐렴, 요로감염 등 신체의 어떤 장기의 감염이라도 대단히 빠르게 진행된다. 패혈증까지 빠르게 올 수 있다.

과립구감소증을 일으키는 약물

뇌전증약, 항갑상샘제, 항생제, H2차단제, ACE억제제, 마취제, 항암제, 금염(gold salt), 항우울제, 통풍약, 구충제, 말라리아약, 살충제, 일부 소염제, 항정신병약, 코카인 등

무과립구증 진단

일반적인 혈액검사에서 절대중성구수가 500 이하로 떨어지지만(정상수치는 1800~7000) 다른 혈구는 정상수치를 보인다.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들이 배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돌발야간혈색뇨(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ia), 백혈병(leukemia) 등이 포함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골수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에서 과립구로 성숙해야 할 전골수세포(풋골수세포, promyelocyte)가 발육부전이라는 것이 나타타야 한다.

무과립구증 치료

증상이 없는 경우 지속적인 혈구검사를 시행하고 문제가 되는 약물의 사용을 중지한다. 환자에게 발열의 심각함에 대해 교육한다. 중성구 수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중성구의 수명은 10시간 미만이므로 단기적인 효과일 뿐이며 수혈과정에서 많은 부작용이 있다.

agranulocytosis 뜻
agranulocytosis 뜻

 

 

의학용어 ANC 뜻 absolute neutrophil count 절대중성구수, 절대호중구수 계산방법

[목차] 의학용어 absolute neutrophil count 뜻? 우리말(한자) : 절대중성구수(絕對中性球數), 절대호중구수(絕對好中球數) 절대호중구수란? 혈액 1 μl당 호중구의 숫자. 호중구(중성구)는 사람의 백혈구

medicalterms.tistory.com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