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 esophageal achalasia |
뜻 | 식도이완불능증(食道弛緩不能症)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οἰσοφάγος (oisophágos, 식도)의 형용사형] + [고대 그리스어 k ἀ- (a-, 아니다) + χάλασις (khálasis, 이완) = 이완이 안된다] |
영어발음기호 | ɪˌsɒfəˈdʒi:əl æ̀kəléiƷiə |
한글발음 | 이사퍼지얼 애칼레이지어 |
해설 | 식도(esophagus) 하부가 협착(constriction)되어 정상적인 삼킴(연하, swallowing)을 막는 상태. 이완불능증은 위장관(위창자길, gastrointestinal tract)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다. 직장(곧창자, rectum)에서 발생하는 이완불능증은 히르슈스프룽병(Hirschsprung disease)라고 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이완불능증(achalasia)이라는 단어는 식도 이완불능증을 가리킨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식도의 민무늬근층과 하부 식도조임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 LES)의 운동장애(esophageal motility disorder)이다. 이는 불완전한 LES 이완과, LES 긴장 증가, 식도 연동운동(peristalsis) 부족이 특징이다. 삼킴이 어렵고, 구토(regurgitation), 체중감소, 때때로 흉통(chest pain)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형태인 원발 식도이완불능증의 선행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말단 식도억제신경(distal esophageal inhibitory neuron)의 기능부전 때문이다. 일부 사례는 식도암이나 샤가스병(Chagas disease), 삼중A증후군(triple-A syndrome) 같은 질환 때문에 발생한다. 식도 압력측정(esophageal manometry), 바륨(barium)을 이용한 X선 사진을 진단에 활용한다. 혀밑(설하, sublingual)으로 나이페디핀(nifedipine)을 투여하거나 보톡스(botox) 주사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영구적인 이완을 위해 식도확장술(esophageal dilatation)과 헬러 근절개(Heller myotomy)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
분야 | 소화기내과, 외과 |



'의학용어 사전 >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ECP 뜻 emergency contraception pill 응급피임약, 사후피임약 종류와 부작용 (0) | 2021.07.18 |
---|---|
의학용어 enema 관장의 종류 (0) | 2021.03.09 |
의학용어 eod, EOD = every other day 하루 걸러서 (0) | 2021.03.09 |
의학용어 elastic cartilage 탄력연골 (0)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