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0

참 쉬운 의학용어사전 (A~K) (L~Z) 통합검색

 



의학용어 accessory spleen 덧지라, 부비장 의학용어 accessory spleen 뜻 덧지라, 부비장(副脾臟) 어원 accessory(덧-, 부-) + [고대 그리스어 σπλήν (splḗn, 비장)] = 부비장, 덧지라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spli:n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스플린 해설 비장의 작은 결절이 비장의 몸통 밖으로 떨어져 나온 것. 인구의 약 10%가 덧비장을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약 1 cm 정도이다. 배아발달과정이나 치료적 비장절제 이후에 생길 수 있다. 비장의 문(hilum)과 췌장의 꼬리 부근에 잘 생긴다. 동의어 splenculus, spleneolus, splenulus. 분야 외과 2021. 2. 22.
의학용어 accessory root canal 덧이뿌리관, 부치근관 의학용어 accessory root canal 뜻 덧이뿌리관, 부치근관(副齒根管) 어원 accessory(덧-, 부-) + [인도게르만공통조어 wréh₂ds(뿌리)] + [아카드어 𒄀 (qanû, 갈대) = 관] = 덧뿌리관, 부근관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ɹʊt kəˈnæl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루트 커넬 해설 치수공간(pulp cavity)에서 옆으로 뻗은 가지. 분야 치과 2021. 2. 22.
의학용어 accessory placenta 덧태반, 부태반 의학용어 accessory placenta 뜻 덧태반, 부태반(副胎盤) 어원 accessory(덧-, 부-) + [라틴어 placenta(납작한 케이크) = 태반] = 부태반, 덧태반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pləˈsentə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플러센터 해설 원래의 태반 옆에 있는 작은 태반. 태반 혈관이 이어져 있어 분만시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태반보다 먼저 분리되어 태반조기박리(abruptio placentae)를 일으키거나, 분만후에 잔류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동의어 보조태반(succenturiate placenta). 분야 산부인과 2021. 2. 22.
의학용어 accessory pathway 덧전도로, 부전도로 의학용어 accessory pathway 뜻 덧전도로, 부전도로(副傳導路) 어원 accessory(덧-, 부-) + [path(자취, 진로) +‎ way(길, 방향) = 길, 경로] = 부차적인 경로 = 부전도로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ˈpæθˌweɪ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패뜨웨이 해설 심장의 두 부분 사이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conduction pathway).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이나 부정맥(arrhythmia)이나 빈맥(tachycardia)이 생길 수 있다. 가장 흔한 부전도로는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을 거치지 않는 심방-심장경로((atrio-ventricular pathways)이다. 분야 심장내과 2021. 2. 22.
의학용어 accessory pancreas 덧이자, 부췌장 의학용어 accessory pancreas 뜻 덧이자, 부췌장(副膵臟) 어원 accessory(덧-, 부-) + [고대 그리스어 πᾶν (pân 모든) + κρέας (kréas, 고기) = 췌장] = 부췌장, 덧이자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ˈpæŋkɹɪəs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팬크리어스 해설 췌장세포의 일부가 췌장에서 떨어져 나온 것. 소장의 장간막(mesentery), 샘창자(십이지장, duodenum)의 벽, 빈창자(공장, jejunum)의 윗부분에 생길 수 있다. 드물게는 위, 돌창자(회장, ileum), 쓸개(담낭, gallbladder), 지라(비장, spleen)의 벽에도 생길 수 있다. 대부분 별도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간혹 복통, 메스꺼움, 구토, .. 2021. 2. 21.
의학용어 accessory nerve 더부신경, 부신경 의학용어 accessory nerve 뜻 더부신경, 부신경(副神經) 어원 accessory(덧-, 부-) + nerve(신경) = 부신경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nɜ:rv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너브 해설 뇌신경 12쌍 중 11번째에 해당하여 11번 뇌신경(cranial nerve XI)이라고도 한다. 순수한 운동신경이다. 부신경의 신경핵(nerve nuclei)은 숨뇌(연수, medulla oblongata)에 있는 것과 척수(C1~5)에 있는 것으로 나뉜다. 척수에서 나온 부신경은 큰구멍(대공, foramen magnum)을 통해 머리뼈(두개골, skull)로 올라갔다가 숨뇌에서 나온 부신경과 합류하여 9번 뇌신경·10번 뇌신경과 함께 목정맥구멍(jugular fora.. 2021. 2. 20.
의학용어 accessory nasal sinus 부비동, 코곁굴 의학용어 accessory nasal sinus 뜻 부비동(副鼻洞), 코곁굴 어원 accessory(덧-, 부-) + nasal(코의, 코에 관한) + sinus(오목, 공간)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ˈneɪzəl ˈsaɪnəs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네이즐 사이너스 해설 코안(비강, nasal cavity) 주변에 있는 좌우 4쌍의 공기가 들어있는 공간. 굴(동)이 위치한 뼈의 이름을 따라 이마굴(전두동, frontal sinus), 벌집굴(사골동, ethmoid sinus), 나비굴(접형동, sphenoidal sinus), 위턱굴(상악동, maxillary sinus)로 구분한다. 동의어 paranasal sinus를 볼 것. 분야 해부학 2021. 2. 20.
의학용어 accessory muscle of respiration 호흡보조근(육) 의학용어 accessory muscle of respiration 뜻 호흡보조근(육)(呼吸補助筋肉) 어원 accessory(덧-, 부-, 부속-) + [muscle(작은 쥐) = 작은 쥐 모양 = 근육] + of(~의) + respiration(내쉬기, 호흡) = 호흡의 부근육 = 호흡보조근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ˈmʌs.əl ʌv ɹɛspɪˈɹeɪʃən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머슬 어브 레스피레이션 해설 호흡의 주근육인 가로막(횡격막, diaphragm)과 갈비사이근(늑간근, intercostal muscle)을 보조하는 목, 등, 배의 근육. 호흡장애가 있거나 운동중에 호흡할 때 호흡보조근을 사용하며 휴식중에 이 근육들을 사용하면 호흡곤란(respiratory dis.. 2021. 2. 19.
의학용어 accessory muscle 부근, 보조근 의학용어 accessory muscle 뜻 부근(副筋), 보조근(補助筋) 어원 accessory(덧-, 부-, 부속-) + [muscle(작은 쥐) = 작은 쥐 모양 = 근육] = 부근, 보조근 영어발음기호 əkˈsɛsəɹi, ækˈsɛsəɹi ˈmʌs.əl 한글발음 억세서리, 액세서리 머슬 해설 1. 부근 : 근육이 중복으로 나타나는 것. 근육계 어디에서든 생길 수 있다. 매우 드문 현상이며 희귀질환으로 지정되어 있다. 덩어리로 만져지지만 정상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복장근(흉골근, sternalis muscle), 가자미근(accessory soleus muscle), 짧은손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brevis manus), 위도르레팔꿈치근(epitrochle.. 2021. 2. 19.
의학용어 B chromosome B 염색체 의학용어 B chromosome 뜻 B 염색체(B染色體) 어원 B(알파벳 비) + [chromo-(색) + some(몸)] = B 염색체 영어발음기호 bi: ˈkɹoʊməˌsoʊm, ˈkɹoʊməˌzoʊm 한글발음 비 크로우머소움, 크로우머조움 해설 정상 핵형(normal karyotype) 외의 여분의 염색체.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르지 않고 일반적인 염색체 분리(chromosome segregation)에서 벗어나 있으나 자주 우선적으로 유전된다. 정상 핵형에 포함되는 염색체는 A염색체라고 한다. 많은 동물, 식물, 곰팡이의 야생집단이 B염색체를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개체에는 존재하지 않고 일부 개체에만 존재한다. 한 집단내에 B염색체를 0개, 1개, 2개, 3개... 가진 개체가 존재한다. 주로 이.. 2021. 2.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