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60

참 쉬운 의학용어사전 (A~K) (L~Z) 통합검색

 



의학용어 preload, afterload 뜻 전부하, 후부하 의학용어 preload, afterload 뜻 전부하, 후부하  1. 의학용어 preload, afterload 뜻?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제6판. 우리말(한자) : 전부하(前負荷), 후부하(後負荷)2. 전부하란?심장이 수축하기 전에 발생하는 심장에 부담이 되는 일. 얼마나 많은 양의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왔는가를 말한다. 이완기의 끝에 심장에 들어온 혈액양이 많을수록 심근이 많이 늘어난다. 전부하가 클수록 심박출량이 많아진다. 고무줄이 늘어날수록 손을 놓았을 때 수축하는 힘이 커지는 것과 같으나 지나치게 늘어나면 탄력을 잃어버린 고무줄처럼 심근의 수축력도 약해진다.3. 후부하란?심장이 수축을 시작한 후에 발생하는 심장에 부담이 되는 일. 수축기에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필요한 얼마나 강하게 수축해야 .. 2024. 8. 1.
의학용어 gravidity and parity 뜻 임신력 출산력. 산과력 TPAL, GTPAL 의학용어 gravidity and parity 뜻 임신력 출산력. 산과력 TPAL, GTPAL 1. 의학용어 gravidity and parity 뜻?우리말(한자) : 임신력과 출산력, 임신수와 출산수2. 임신력과 출산력이란?산과력(obstetric history, 産科歷)을 나타내는 방법. 임신을 몇 번 했는지, 출산을 몇 번 했는지를 표시한다. 순서대로 만기출산 – 조산 – 유산 – 정상분만 등을 나타낸다.3. gravidity and parity 어원라틴어 graviditas(임신), 라틴어 parere(키우다)4. gravidity and parity 발음영어 발음기호ɡrəvídəti ænd ˈpæɹɪti한글발음그러비디티 앤드 패리티5. 임신력(임신수)이란?여성이 임신한 횟수. 출산과는 관계 없다.. 2024. 7. 27.
의학용어 ID injection 뜻 피내주사 부위, 피내주사 핵심술기 의학용어 ID injection 뜻 피내주사 부위, 피내주사 핵심술기 1. 피내주사란?피내주사(皮內注射, intradermal injection, 인트라 더말)이란 표피(epidermis)와 피하조직(hypodermis) 사이에 있는 진피(眞皮, dermis)에 약물을 주사(injection)하는 것입니다.  진피에는 근육층이나 피하층보다 혈관분포가 적기 때문에 피내주사는 인체에 약물이 투여되는 경로 중에서 가장 흡수가 느린 방법입니다. 가장 빠른 방법부터 순서대로 살펴보면 정맥주사 › 근육주사 › 피하주사 › 피내주사 순입니다.2.피내주사 목적주사부위가 작은 지역에 국한되어 약물이 바로 전신에 투여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눈으로 직접 관찰.. 2024. 7. 26.
더위 먹고 성인 땀띠 두드러기 물집 올라올 때 시원하게 열 내리는 음식 7가지 (마그밀 오이 참외 호박 수박 상추 콩 칡) 더위 먹고 성인 땀띠 두드러기 물집 올라올 때 시원하게 열 내리는 음식 7가지 (마그밀 오이 참외 호박 수박 상추 콩 칡) 1. 여름철 두드러기 원인(1) 땀띠, 열꽃, 두드러기, 물집 날이 더워지면서 팔, 다리, 목뒤, 가슴, 등 부위에 빨갛게 뭐가 올라온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심한 경우 그 뭔가가 두피까지 올라오고, 여드름처럼 염증이 생기거나 뾰루지처럼 단단해지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작고 큰 물집이 잡히기도 합니다. 이런 피부병은 원인으로 볼 때 사실상 열꽃이나 땀띠와 비슷한 종류입니다. 여기에 감염이 동반되면 모낭염이 되거나 땀샘염(한선염)이 되기도 합니다. 그 외에 실제로 알레르기 반응으로 나타나는 두드러기일 수도 있습니다. (2) 여름철 땀띠, 열꽃, 두드러기가 생기는 과정 여름에는.. 2024. 7. 25.
의학용어 IM SC IV ID injection 근육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피내주사 놓는 방법 의학용어 IM SC IV ID injection 근육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피내주사 놓는 방법의학용어IM SC IV ID injection뜻1. IM 근육주사2. SC 피하주사3. IV 정맥주사4. ID 피내주사어원1. IM = intramuscular[intra(안에) + muscular(근육의) = 근육 안에] + injection(주사)의 약어2. SC = subcutaneous[sub(아래) + cutaneous(피부의) = 피부 아래] + injection(주사)의 약어 3. IV = intravenous[intra(안에) + venous(정맥의) = 정맥 안에] + injection(주사)의 약어4. ID = intradermal[intra(안에) + dermal(진피의) = 진피 안에] + .. 2024. 7. 24.
의학용어 abductor 뜻 외전근, 어브덕터 의학용어 abductor 뜻 외전근(外轉筋) 어원 abduct(외전시키다) +‎ -or(행위자를 나타내는 명사형 어미) = 외전시키는 것 = 외전근 영어발음기호 æb'dʌktə(r) 한글발음 애브덕터 콩글리시 어브덕터 품사 명사 해설 외전근이란 몸의 정중선(midline)이나 축(axis)으로부터 사지를 멀어지게 하는 근육을 말한다. 반대말 adductor(내전근). 분야 생리학 2023. 5. 1.
의학용어 abdominal pregnancy 뜻 복강임신, 복부임신 의학용어 abdominal pregnancy 뜻 복강임신(腹腔姙娠), 복강내임신(腹腔内姙娠) 어원 abdominal(복부의) + pregnancy(임신) = 복부임신, 복강임신 영어발음기호 æb'dɑ:mɪnl 'preɡnənsi 한글발음 앱다미늘 프레그넌시 콩글리쉬 업도미날 프레그넌시 분야 의학, 산부인과 1. 복강임신 뜻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의 한 종류. 난소, 난관, 자궁내 또는 자궁주변조직에 착상한 경우를 제외한다. 복막(peritoneum), 직장자궁오목(rectouterine pouch), 그물막(omentum), 장(bowel)과 장간막(mesentery), 자궁관간막(mesosalpinx) 등 복강내 어디든 발생할 수 있다. 자궁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고 양수가 부족하기.. 2023. 4. 9.
의학용어 AAI = ankle-arm index 발목-팔 지수 의학용어 AAI 뜻 발목-팔 지수(ankle-arm index)의 약자 해설 발목-위팔지수(발목상완지수, ankle brachial index). 발목위팔압력지수(발목상완압력지수, ankle brachial pressure index)를 볼 것. 분야 의학 [발목팔지수 측정방법] 1. 초음파 기구로 동맥혈류의 소리를 증폭시킨다. 2. 위팔동맥의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다. 3. 발목에 있는 동맥혈류의 소리를 증폭시킨다. 4. 발목에 있는 동맥 각각의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다. 2023. 3. 23.
의학용어 약어모음 (2) 병원이나 약국에서 자주 쓰는 용어 병원이나 약국에서 의사 처방전이나 환자 차트에 자주 쓰는 의학용어 약어모음입니다. 보건의료 관계자가 알아야 하는 필수 용어입니다. 표는 약어 - 어원(원문) - 영어 - 뜻(한글) 순으로 작성했습니다. 원래 문장은 라틴어이니 발음은 알파벳을 소리나는대로 읽으면 됩니다. a는 아, i는 이 이런 식으로 읽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용어, 투약 시간과 방법에 관한 용어, 약제의 상태에 관한 용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약어 어원 영어 뜻(한글) āā ana of each 각각 ABR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 a.c. ante cibum before meals 식전 ad ad to, up to ~까지 a.d. auris dextra right ear 오른쪽 귀 a.s. auris.. 2023. 3. 20.
변비약 먹는 시간 : 변비약(둘코락스, 비코그린, 마그밀 등)을 먹어도 효과가 없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변비 때문에 변비약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변비약을 먹어도 대변을 보지 못한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변비가 생기는 이유와 왜 변비약을 먹어도 대변을 보지 못하는지 그 원인을 알아보고, 변비약을 먹는 가장 좋은 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변비가 생기는 이유 (1) 수면부족 변비의 원인을 따져볼 때 의외로 간과하기 쉬운 것이 수면부족입니다. 위, 소장, 대장을 비롯해서 몸안의 장기들은 휴식을 취할 때 가장 왕성하게 활동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가 강력한 휴식 방법은 수면입니다. 사람은 잠을 잘 때 내장기관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내장을 관장하는 부교감신경이 휴식을 취할 때 가장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잠이나 휴식이 부족하고 .. 2022. 10.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