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1)

물을 마셔도 입안이 말라요 입냄새가 심해요 – 의학용어 xerostomia 뜻 구강건조증이 생기는 이유와 치료법

by 참 쉬운 2022. 5. 30.

1. 의학용어 – 구강건조증이란?

구강건조증은 한자로는 口腔乾燥症, 영어로는 xerostomia라고 합니다.

한자를 분해해서 살펴보면 구강口腔 + 건조乾燥 + 증症이 되는데 말 그대로 구강(입안, 입속)이 마르는 증상을 가리킵니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영어 xerostomia는 xero(제로) 마른 + stoma(스토마) 입 + ia(이아) 병을 나타내는 접미사로서 입이 마르는 병을 나타냅니다. 발음은 제로스토미아입니다.

구강건조증은 타액분비저하증(唾液分泌不全, hyposalivation)이라고도 하는데 어떠한 이유로 침 분비가 줄어들면 구강이 건조해지며 그 결과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침샘

2. 침샘 조절

타액의 생성과 침샘의 분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의해 조절됩니다. 교감신경은 투쟁과 도피 반응을 관장하고 부교감신경을 휴식과 소화 반응을 관장합니다.

휴식과 소화중에는 부교감신경이 흥분하여 타액선의 혈관과 모세혈관에 작용하여 혈관이 확장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타액 생성이 증가합니다.

스트레스일 때는 교감신경이 흥분하여 침샘으로 가는 혈관이 수축하여 침 분비가 줄어들고 단백질과 효소 분비가 증가하여 끈적끈적한 침이 생성됩니다. 정신적인 긴장은 교감신경의 흥분을 촉진해서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한때는 구강건조증이 거짓말 탐지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3. 구강건조증 증상

(1) 끈끈한 침

침의 99.5%는 수분이며 그 외에 무기질 이온, 점액(다당류, 당단백질), 백혈구, 상피세포, 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 항균물질(IgA, 라이소자임, 락토페린) 등이 들어있습니다.

침샘은 물 같은 침을 분비하는 장액세포serous cell와 끈끈한 침을 분비하는 점액세포mucous cell로 나뉘는데 구강이 건조할 때는 장액세포의 분비가 줄어들어 수분이 감소하고 단백질 분비가 증가하여 침의 성질이 끈적해져서 잘 끊어지지 않으며 거품이 많이 생깁니다.

말을 많이 하거나 갑자기 달리기를 했을 때는 입안에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침이 끈끈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건조하고 마른 혀

(2) 건조한 혀와 점막

입안을 촉촉하게 적셔줄 수 있는 침의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혀과 입안 점막이 건조해집니다. 혀와 목구멍 등이 건조하고 따끔거린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딱딱하고 마른 음식을 씹을 때 입안에 상처가 나기 쉽습니다.

연하곤란

(3) 연하곤란과 통증

정상인은 과자나 뻥튀기 같은 건조한 음식을 씹으면 수분이 많은 음식을 씹을 때보다 침이 많이 분비되어 음식과 섞여서 부드럽고 삼키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은 침이 많이 분비되지 않아서 음식을 삼키기 어렵고 목이 메기 때문에 국이나 물 없이는 식사하기 힘듭니다.

침샘이 위축되어 있다가 신 음식을 먹어서 갑자기 분비가 늘어날 때 귀밑샘 부근에서 뻐근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소화불량

(4) 소화불량

침 분비가 줄어들면 침에 들어있는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 역시 분비가 부족하여 탄수화물 소화가 힘들어집니다. 침의 pH가 낮아져 있으므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는 잘 되는 편이지만 위의 운동성과 pH가 감소하여 소화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미각

(5) 미각의 변화

음식의 성분이 침에 녹아 혀의 맛봉오리를 자극할 때 맛을 느끼게 되는데 침 분비가 적으면 혀의 조직과 맛봉오리가 위축되어 맛을 잘 느끼지 못하거나 금속성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체액의 나트륨 수치가 높아지고 pH의 산도가 낮아져서 나트륨이온과 수소이온을 감지하여 짠맛과 신맛을 강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입냄새

(6) 입냄새(구취)

침에 들어있는 용균효소인 라이소자임lysozyme과 락토페린lactoferrin이 세균의 세포벽을 녹이고 면역글로블린에이immunoglobulin A과 함께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침 분비가 줄어들면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침이 입안의 세균을 씻어내는 역할을 하지 못해 입안 미생물 활동이 증가하여 입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생산합니다.

충치

(7) 충치, 치아우식증

침의 정상 pH는 6.2~7.6입니다. 침은 세균에 의해 대사될 수 있는 탄수화물을 제거하고 세균이 만든 산을 씻어 내려서 충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강내 pH는 타액에 의해 거의 중성인 6.7~7.3으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입안이 마르는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침 분비량이 적을뿐만 아니라 침 자체의 pH가 낮기 때문에 구강의 pH도 낮아집니다.

침샘의 분비는 교감신경이 조절을 하는데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침샘으로 가는 혈관이 수축하여 침 분비가 줄어들고, 지방 분해가 증가하여 체액이 산성화되므로 침의 pH 역시 평소보다 더 산성으로 기웁니다. 그 결과 치아가 산성의 침에 녹아 치아의 법랑질이 벗겨지는 치아우식증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나이가 들수록 치아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식사 후에 음식이 이에 많이 끼는 이유는 산성침 때문에 치아가 녹아서 부피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갈증

(8) 갈증

침이 목구멍을 충분히 적셔주지 못하기 때문에 물을 충분히 마시고 있어도 목이 마르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9) 감염

침의 항균작용이 감소하여 구강 칸디다증, 구순염, 구각염 등의 발생빈도가 높아집니다.

(10) 다른 증상

침샘의 위축을 초래한 교감신경 흥분으로 인한 인체 다른 부위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눈물샘 분비 저하로 인한 안구건조증, 동공확대로 인한 눈부심, 비강(콧구멍) 건조 또는 생식기 건조, 피부 건조 및 가려움증, 목이 쉬고 목소리가 갈라짐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구강건조증 진단

(1) 진단기준

일반적으로 성인의 하루 타액분비량은 1~1.5 L입니다. 자극이 없을 때는 1분에 0.3~0.4 ml, 자극이 있을 때는 1분에 1.5~2.0 ml가 분비되어야 정상입니다.

보통 정상인과 비교해서 타액분비가 50% 이상 감소되었을 때 주관적으로 입안이 건조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정상인과 비교해서 타액분비가 약 66~75% 이상 감소하면 구강건조증으로 진단합니다. 자극이 없을 때 분당 0.1 ml 이하, 자극이 있을 때 분당 0.5~0.7 ml 이하로 침이 분비될 때를 말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침 분비가 감소하여 65세 이상 인구의 30% 가량이 구강건조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주관적으로 입안이 마른다고 느끼는 사람의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2) 진단방법

2시간 이상 금식한 후에 5~15분간 침을 모아서 컵에 뱉은 후 무게를 재는 방법, 5~15분간 미리 무게를 측정한 거즈를 씹은 후 거즈의 무게를 재는 방법, 귀밑샘 입구에 컵을 설치해서 5~15분간 침을 모으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때 침 분비를 촉진하기 위해 레몬주스나 구연산 등 신맛이 나는 자극을 주어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타액선조영술sialography이나 MRI, CT, 초음파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른 혀

5. 구강건조증 원인

(1) 생리적인 원인

보통 침은 음식을 섭취할 때, 음식에 관한 생각을 할 때 많이 분비되며 수면 중에는 분비량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날 때 어느 정도 입냄새가 나는 것은 정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침 입냄새가 심하다면 타액분비가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어린 아기들보다 성장해갈수록 침 분비가 서서히 줄어들어 갱년기가 지나면 특히 분비가 감소됩니다. 이는 성장이나 노화와 함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교감신경이 항진되고 부교감신경이 억제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2) 입을 벌리고 숨을 쉴 때

코가 막히고 콧물이 나거나 코점막이 부어서 비강호흡이 어려운 사람은 자기도 모르게 구강호흡을 위해 입을 벌리고 숨을 쉴 수 있습니다.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경우에도 구강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입을 벌리고 호흡을 하면 당연히 구강의 수분이 증발하여 입안이 마르게 됩니다.

(3) 약물 부작용

특정한 약물의 부작용으로 침 분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400개가 넘는 약물이 구강건조증과 관련이 있는데 해당 약물을 끊으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보통 이런 약물들은 장기복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쉽게 끊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약물들의 공통점은 침 분비를 줄이는 교감신경을 자극하고, 침 분비를 증가시키는 부교감신경을 억제합니다.

[구강건조증을 일으키는 약물 목록]

항우울제, 아편제제, 향정신병약, 의료용 대마초 - 교감신경 자극
기관지 확장제(에피네프린) - 교감신경 자극
항암제 - 교감신경 자극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 - 부교감신경 억제
알콜, 니코틴, 카페인 - 교감신경 자극
고혈압약, 이뇨제 - 탈수

(4) 방사선 치료 부작용

두경부 종양에 대한 방사선요법으로 인해 부교감신경이 손상되는 경우, 방사선이 타액선을 파괴하거나 침샘으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는 경우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특정 질환

쇼그렌증후군Sjögren syndrome은 침샘을 침범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침과 눈물 등의 분비샘의 분비물을 입안과 눈 점막을 마르게 하므로 안구건조증이 동반됩니다.

C형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등도 타액선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구강건조증 치료법

구강건조증 치료법.txt
0.00MB

 

 

자다가 자꾸 깨요,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요 – 의학용어 과민성 방광 야간뇨 치료법

1. 의학용어 – 야뇨증, 야간뇨 (1) 야간뇨 어원 야뇨증과 야간뇨는 비슷한 말이지만 여러 모로 다릅니다. 야뇨증(夜尿症)은 수면 중에 이불에 소변을 지리는 것이고, 야간뇨(夜間尿)는 오줌이 마

medicalterms.tistory.com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